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멘셰비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멘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이 블라디미르 레닌의 볼셰비키와 율리 마르토프의 멘셰비키로 분열되면서 형성된 정당이다. 멘셰비키는 당원 자격, 혁명 노선 등에서 볼셰비키와 이견을 보였으며, 1905년 러시아 혁명 이후 합법적인 활동과 노동조합 운동을 중시했다. 1917년 10월 혁명 당시 볼셰비키의 봉기를 쿠데타로 비판하며 반대하여 망명하였으며, 이후 국제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기관지를 발행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8월 블록
8월 블록은 1912년 레프 트로츠키의 주도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분파들을 통합하려던 시도였으나, 주요 분파들의 불참과 이념적 갈등으로 실패하고 트로츠키에 대한 정치적 비판의 근거로 활용되었다.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이스크라
《이스크라》는 1900년부터 1905년까지 러시아에서 발행된 마르크스주의 신문으로, 블라디미르 레닌이 초기 편집을 주도하여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의 조직적 기반을 마련하고 정치적 자유와 사회주의 혁명을 옹호했다. - 1965년 해산된 정당 - 브라질 노동당
브라질 노동당은 1945년 헤투리우 바르가스 대통령 지지자들이 노동조합 공산화를 막기 위해 창당되었으나, 1964년 쿠데타 이후 해산되었다가 1980년 이베트 바르가스에 의해 중도우파 정당으로 재창당되었다. - 1965년 해산된 정당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1905년 프랑스 사회주의 운동의 통합으로 결성된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는 제2 인터내셔널의 프랑스 지부로서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했으나 개량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부침을 겪다 1969년 프랑스 사회당으로 재편되었다. - 1912년 설립된 정당 - 진보당 (1912년 미국)
진보당 (1912년 미국)은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공화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으로, 1912년 대통령 선거에서 2위를 기록했으며 사회, 경제, 정치 개혁을 주장하다가 쇠퇴하여 공화당에 흡수되었다. - 1912년 설립된 정당 - 중국동맹회
중국동맹회는 1905년 쑨원이 결성한 혁명 단체로, 청나라를 타도하고 중화민국을 수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삼민주의를 통해 중국 근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멘셰비키)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멘셰비키) |
원어 명칭 | (러시아어) |
상세 정보 | |
창립 | 1912년 |
해산 | 1965년 |
분리 정당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본부 | 상트페테르부르크 (1912–20) 베를린 (1920–33) 파리 (1933–40) 뉴욕 (1940–65) |
신문 | Socialist Courier (사회주의 특사) (노동자 신문) |
이념 | 마르크스주의 민주사회주의 |
정치적 위치 | 좌익 |
국제 연대 | 빈 인터내셔널 (1921–23)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1923–40) |
상징색 | 적색 |
지도부 | |
총서기 | 여러 명 존재 |
2. 역사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와 율리 마르토프가 이끄는 멘셰비키로 분열된 이후[21], 멘셰비키는 국가 두마의 성격에 관한 논쟁에서 볼셰비키와는 다른 입장을 보였다. 이들은 합법적 임금 투쟁 노선 및 국가 두마에서 대중 정당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22]
1912년 1월 1일, 멘셰비키는 볼셰비키와 공식적으로 결별했다.[21] 이후 리투아니아, 폴란드, 러시아의 일반 유대 노동자 연맹은 멘셰비키가 연방 정당 조직의 개념을 수용하면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멘셰비키)의 연방 일부가 되었다.[2]
10월 혁명 당시 멘셰비키는 볼셰비키의 봉기를 의회 정치를 파괴하는 쿠데타로 규정하고 비판하였다.[21] 이들은 볼셰비키에 반대하여 망명길에 올랐고, 바이마르 공화국 베를린에 중앙당사를 설치했다. 극소수 멘셰비키는 당적을 유지하며 러시아 공산당 내에서 볼셰비키 비판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
1921년, 멘셰비키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강령"을 발표하여 소련 공산당의 정치적 독점 해소, 산업 사유화, 농민과 부르주아 계급으로 취급받는 사람들에게 완전한 투표권을 부여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와는 다른 노선이었다.[18]
1921년 초 크론슈타트 반란 진압, 제10차 공산당 대회, 신경제 정책(NEP) 도입 및 농민으로부터의 곡물 강제 징수 중단 이후, 멘셰비키는 소비에트 러시아에서 지하 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고, 유럽과 북미로 망명해야 했다.[8] 1926년 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분파 행위를 공식적으로 금지했고, 소비에트 연방 내 소수 멘셰비키는 해외 망명 그룹에 합류하였다.[21]
1910년대 말부터 독일에서 주로 활동했던 멘셰비키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영향을 받았다. 1933년 3월 24일 독일에서 전권 위임법이 통과되자, 나치를 피해 중앙당사를 프랑스 파리로 옮겼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프랑스 패색이 짙어지는 1940년 5월에 중앙당사를 미국 뉴욕으로 옮겼다.[23]
1921년, 멘셰비키는 비엔나 인터내셔널에 참여했고, 1923년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 창립 회의에 11명의 대표를 파견했다. 1923년부터 1940년까지 LSI의 회원이었다.[1] 라파엘 아브라모비치는 LSI 집행부에서 멘셰비키를 대표했다.[9] 멘셰비키는 1921년부터 1965년까지 ''사회주의 쿠리어''[10]를 발행했다. (1921년 2월 1일부터 1933년까지 베를린, 1940년까지 파리, 1965년까지 뉴욕).[1]
2. 1.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분열과 멘셰비키의 형성 (1903년 ~ 1912년)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와 율리 마르토프가 이끄는 멘셰비키로 분열되었다.[21] 멘셰비키의 초기 지도자들은 율리 마르토프, 파벨 악셀로드,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등이었다.[16] 이들은 볼셰비키의 혁명 이론과는 상반된 입장을 보이며, 합법적 임금 투쟁 노선 및 국가 두마에서 대중 정당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공유했다.[22]1912년 1월 1일, 멘셰비키는 볼셰비키와 공식적으로 결별했다.[21] 분열 이후, 리투아니아, 폴란드, 러시아의 일반 유대 노동자 연맹은 멘셰비키가 연방 정당 조직의 개념을 수용하면서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멘셰비키)의 연방 일부가 되었다.[2]
1917년 5월 스톡홀름 노라 반토리에트에서 열린 멘셰비키 지도자 회의에는 파벨 악셀로드, 율리우스 마르토프,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등이 참석했다.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멘셰비키의 분열 (1914년 ~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멘셰비키는 전쟁에 대한 입장에 따라 분열되었다.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알렉산드르 포트레소프를 지지하는 멘셰비키 국방주의자들은 러시아의 전쟁 수행을 지지한 반면, 유리 마르토프를 중심으로 한 멘셰비키 국제주의자들은 전쟁에 반대하고 국제적인 프롤레타리아 연대를 주장했다.[13][14][15] 이러한 분열은 멘셰비키의 정치적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2. 3. 1917년 러시아 혁명과 멘셰비키
1912년 분열 이후, 리투아니아, 폴란드, 러시아의 일반 유대 노동자 연맹은 멘셰비키가 연방 정당 조직의 개념을 수용하면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멘셰비키)의 연방 일부가 되었다.[2] 1917년 8월 19일부터 26일까지 페트로그라드에서 멘셰비키 주도로 여러 사회민주주의 분파를 통합하기 위한 '통일 회의'가 조직되었다. 이 회의에는 멘셰비키 국방주의자(플레하노프주의자 및 포트레소프주의자), 멘셰비키 인터내셔널리스트(마르토프의 추종자) 및 ''노바야 지즌'' 그룹이 참여했다.[3][4][5] 193,172명의 당원을 대표하는 220명의 대의원이 회의에 참석했으며,[4] 이 회의에서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등 주요 인사들로 구성된 당 중앙위원회가 선출되고, 당명은 'RSDLP(연합)'으로 변경되었다.[6][7]2. 3. 1. 10월 혁명과 멘셰비키의 몰락
10월 혁명 당시 멘셰비키는 볼셰비키의 봉기를 의회 정치를 파괴하는 쿠데타로 규정하고 비판하였다.[21] 이들은 볼셰비키에 반대하여 망명길에 올랐고,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도 베를린에 중앙당사를 설치했다. 그러나 극소수의 멘셰비키는 당적을 유지하며 러시아 공산당 내에서 볼셰비키 비판자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1921년, 멘셰비키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강령"을 발표하여 소련 공산당의 정치적 독점 해소, 산업의 대규모 사유화, 농민과 부르주아 계급으로 취급받는 사람들에게 완전한 투표권을 부여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와는 매우 다른 노선이었다.[18]
그러나 1921년 초 크론슈타트 반란 진압, 제10차 공산당 대회, 신경제 정책(NEP) 도입 및 농민으로부터의 곡물 강제 징수 중단 이후, 멘셰비키는 소비에트 러시아에서 지하 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고, 유럽과 북미로 망명해야 했다.[8]
1926년 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분파 행위를 공식적으로 금지했고, 소비에트 연방 내 소수의 멘셰비키는 해외 망명 그룹에 합류하였다.[21]
2. 4. 망명과 국제 활동 (1921년 ~ 1965년)
10월 혁명에 반대하여 망명길에 오른 멘셰비키는 초기에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도 베를린에 중앙당사를 두었다.[23] 극소수의 멘셰비키는 러시아 공산당 내에서 볼셰비키 비판자 역할을 하기도 했지만, 1926년 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분파 행위를 금지하면서 대부분 해외 망명 그룹에 합류했다.[23]1910년대 말부터 독일에서 주로 활동했던 멘셰비키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영향을 받았다.[23] 1933년 나치의 박해를 피해 중앙당사를 프랑스 파리로 옮겼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프랑스의 패색이 짙어지자 1940년 5월 미국 뉴욕으로 다시 이전했다.[23]
멘셰비키는 국제 사회주의 운동에도 참여했다. 1921년 비엔나 인터내셔널에 참여했고, 1923년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 창립 회의에 11명의 대표를 파견했다.[1] 1923년부터 1940년까지 LSI의 회원이었으며, 라파엘 아브라모비치는 LSI 집행부에서 멘셰비키를 대표했다.[1]
멘셰비키는 1921년부터 1965년까지 기관지 ''사회주의 쿠리어(Sotsialisticheskii vestnik)''를 발행했다.[1] 이 기관지는 1921년부터 1933년까지 베를린에서, 1940년까지 파리에서, 그리고 1965년까지 뉴욕에서 발행되었다.[1]
3. 이념과 노선
멘셰비키는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하면서도, 볼셰비키와는 다른 사회주의를 추구했다. 이들은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반대하고 소련 공산당의 정치적 독점 해체를 주장했다.[8] 또한 산업의 대규모 부문을 사유화하고, 농민과 부르주아 계급으로 취급하는 사람들에게 완전한 투표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국가 두마의 성격에 관한 논쟁에서 볼셰비키와 상반된 입장을 보였던 멘셰비키는 1912년 1월 1일에 공식적으로 볼셰비키와 결별했다.[21] 분당 이후 멘셰비키 지도부는 여러 미시적인 입장 차이를 보였으나, 합법적 임금 투쟁 노선과 국가 두마에서 대중 정당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의견을 같이했다.[22]
10월 혁명 당시 많은 멘셰비키 당원들은 볼셰비키의 봉기를 의회 정치 파괴 행위로 간주하고 쿠데타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볼셰비키에 반대하여 망명길에 올랐고,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도 베를린에 중앙당사를 꾸렸다.[21]
1910년대 말부터 독일에서 주로 활동하던 멘셰비키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영향을 받았다. 1933년 전권 위임법 통과 이후 나치의 박해를 피해 프랑스 파리로,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미국 뉴욕으로 중앙당사를 이전했다.[23]
멘셰비키는 공식적으로 사회주의를 표방했지만, 지도권이 명확하지 않아 당내 우측에는 사회민주주의 진영이, 좌측에는 정통마르크스주의 진영이 존재했다.
3. 1. 사회주의 이념과 목표
멘셰비키는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하면서도, 프롤레타리아 독재와는 다른 사회주의 사회를 추구했다.[8] 1921년 발표된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강령"에서 멘셰비키는 소련 공산당의 정치적 독점 해체를 주장했다.[8]멘셰비키는 산업의 대규모 부문을 사유화하고, 농민과 소련 정부가 부르주아 계급으로 취급하는 사람들에게 완전한 투표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이는 볼셰비키의 정책과는 차별화된 멘셰비키만의 독자적인 사회주의 이념이었다.
3. 2. 볼셰비키와의 차이점
멘셰비키는 볼셰비키와 여러 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1912년 1월 1일, 멘셰비키는 볼셰비키와 공식적으로 결별했다.[21] 분당 이후에도 멘셰비키 지도부는 여러 미시적인 입장 차이를 보였지만, 합법적 임금 투쟁 노선과 국가 두마에서 대중 정당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의견을 같이했다.[22]이념 및 전략의 차이
- 프롤레타리아 독재: 멘셰비키는 소련 공산당의 정치적 독점에 반대하며, 프롤레타리아 독재와는 다른 입장을 취했다. 이들은 산업의 대규모 사유화, 농민과 부르주아 계급으로 취급받는 사람들에게 완전한 투표권을 부여할 것을 요구했다.[18]
- 혁명 전략: 멘셰비키는 볼셰비키의 혁명 이론과 상반된 입장을 가졌다.[21] 10월 혁명 당시 많은 멘셰비키 당원들은 볼셰비키의 행위를 쿠데타로 비판하고, 봉기를 의회 정치 파괴 행위로 간주했다.[21]
- 당 조직: 멘셰비키는 연방 정당 조직의 개념을 수용했다.[2] 리투아니아, 폴란드, 러시아의 일반 유대 노동자 연맹은 멘셰비키의 이러한 연방주의적 조직 개념에 동의하여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멘셰비키)의 일부가 되었다.[12]
- 민주주의: 멘셰비키는 볼셰비키보다 민주주의적 절차를 중시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멘셰비키는 볼셰비키에 반대하여 망명길에 올랐고, 소수의 멘셰비키는 러시아 공산당 내에서 볼셰비키 비판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21] 1926년 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분파 행위를 공식적으로 금지하면서, 소비에트 연방 내 소수의 멘셰비키는 해외 망명 그룹에 합류했다.[21]
3. 3. 당내 분파
볼셰비키와의 혁명 이론 차이로 1912년 1월 1일 공식 결별한 후, 멘셰비키당 지도부는 여러 세부적인 입장 차이에도 불구하고 합법적 임금 투쟁 노선과 국가 두마에서 대중 정당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는 의견을 같이했다.[21][22] 10월 혁명 당시 다수의 당원은 볼셰비키의 행동을 쿠데타로 비판하고 의회 정치 파괴 행위로 간주했다. 이들은 볼셰비키에 반대하여 망명길에 올랐고,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도 베를린에 중앙당사를 설치했다. 극소수의 멘셰비키는 당적을 유지하며 러시아 공산당 내에서 볼셰비키 비판자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1926년 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분파 행위를 공식적으로 금지했고, 소비에트 연방 내 소수 멘셰비키는 해외 망명 그룹에 합류했다.1910년대 말부터 독일에서 주로 활동하던 멘셰비키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영향을 받았다. 1933년 3월 24일 독일에서 전권 위임법이 통과되자, 나치의 박해를 피해 중앙당사를 프랑스 파리로 이전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프랑스의 패색이 짙어지던 1940년 5월, 중앙당사는 미국 뉴욕으로 다시 옮겨졌다.[23]
멘셰비키는 공식적으로 사회주의를 표방했지만, 지도권이 명확하지 않아 당내 우측에는 사회민주주의 진영이, 좌측에는 정통마르크스주의 진영이 존재했다.
1912년 분열 당시, 리투아니아·폴란드·러시아·유대인 노동자 총동맹은 멘셰비키가 연합한 당 조직의 사상을 계승하여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멘셰비키)의 연합한 일부가 되었다.[12]
1917년 8월 19일부터 26일까지 페트로그라드에서 "통일 대회"가 개최되어 멘셰비키 옹호파(플레하노프파와 포트레소프파), 멘셰비키 국제파(마르토프 지지자), '''나바야 지즌''' 그룹 등 여러 사회 민주주의 분파의 통합을 논의했다.[13][14][15] 이 대회에는 19만 3172명의 당원을 대표하는 220명의 대표가 참여했다.[14] 대회 결과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I. 아흐마토프, I. 아스트로프, 파벨 악셀로드, B. 그레비치, 에바 브로이드, F. 립킨, 표도르 단, 헨리크 에를리히, V. 에조프, K.F. 고구아, B. 골레프, 이반 마이스키, 유리 마르토프,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러시아의 정치인), A. 풀름손, 핀케비치, S. 셈코프스키, I. 볼코프로 구성된 당 중앙위원회가 선출되었고, 당명은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연합파)"로 변경되었다.[16][17]
10월 혁명 이후 당내 분열이 심화되었다. 1921년, 멘셰비키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와는 다른 공산당의 정치적 독점 해소, 산업의 광범위한 사유화, 농민과 부르주아 계급 및 정부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강령"을 발표했다. 크론시타트 요새 폭동과 제10차 공산당 대회, 신경제 정책 도입, 농민 대상 곡물 강제 징수 중단 이후, 1921년 초부터 멘셰비키는 소비에트 러시아에서 지하 활동을 하거나 유럽 및 북아메리카로 망명해야 했다. 1920년 창설된 당의 외국 대표부는 베를린(1933년까지), 파리, 뉴욕(1940년 이후)에 위치했다.[18] 망명 중에는 제네바, 리에주, 베를린, 파리, 베른, 뉴욕 등지에 소그룹 형태로 존재했다.[11] 1923년까지 유리 마르토프와 라파엘 아브라모비치가 외국 대표부 의장을 맡았고, 표도르 단과 아브라모비치가 그 뒤를 이었다. 아론 주고프는 외국 대표부 서기였다.[11]
1921년, 멘셰비키는 유리 마르토프와 라파엘 아브라모비치를 중심으로 제2 인터내셔널에 참여했다. 1923년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 설립 대회에는 11명의 멘셰비키 대표단이 참가했으며, 1940년까지 LSI 회원으로 활동했다.[11] 라파엘 아브라모비치는 1939년까지 LSI 사무국 회원 및 LSI 집행부 대표였다.[19] 멘셰비키는 1921년부터 1965년까지 ''Sotsialisticheskii vestnik''('''사회주의의 특사''')을 발행했다(1921년 2월 1일부터 1933년까지 베를린, 1940년까지 파리, 이후 1965년까지 뉴욕).[20][11]
4. 주요 인물
멘셰비키는 여러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1917년 8월 19일부터 26일까지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통일 회의'에는 멘셰비키 국방주의자(플레하노프주의자 및 포트레소프주의자), 멘셰비키 인터내셔널리스트(마르토프의 추종자) 및 ''노바야 지즌'' 그룹이 참여했으며,[3][4][5] 193,172명의 당원을 대표하는 220명의 대의원이 참석했다.[4] 이 회의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인물들이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
이름 |
---|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
I. 악마토프 |
I. 아스트로프 |
파벨 악셀로드 |
B. 구레비치 |
E. 브로이도 |
F. 립킨 |
표도르 단 |
헨리크 에를리히 |
V. 에조프 |
K. G. 고구아 |
B. 고레프 |
이반 마이스키 |
율리우스 마르토프 |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
A. 프룸손 |
핀케비치 |
S. 셈코프스키 |
I. 볼코프 |
10월 혁명 이후, 멘셰비키는 소련 공산당의 정치적 독점에 반대하며, 산업 사유화와 부르주아 계급을 포함한 모든 이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할 것을 요구했다.[8] 1921년 비엔나 인터내셔널 결성에 참여했고,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LSI)의 회원이었다.[1] 라파엘 아브라모비치는 1939년 5월까지 LSI 사무국원으로 활동했다.[9]
4. 1. 율리 마르토프
율리우스 마르토프는 멘셰비키의 핵심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1917년 8월 19일부터 26일까지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통일 회의'에서 멘셰비키 인터내셔널리스트(마르토프의 추종자)를 이끌고 참여했다.[3][4][5] 이 회의에서 그는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파벨 악셀로드 등과 함께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
10월 혁명 이후, 멘셰비키는 소련 공산당의 정치적 독점에 반대하며, 산업 사유화와 부르주아 계급을 포함한 모든 이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할 것을 요구했다.[8] 1921년, 마르토프는 비엔나 인터내셔널 결성에 참여했고, 1923년까지 멘셰비키 해외 대표부 의장을 맡았다.[1]
4. 2. 파벨 악셀로드
1917년 5월 스톡홀름 노라 반토리에트에서 열린 멘셰비키 지도자 회의에 율리우스 마르토프,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와 함께 참석했다.[2]1917년 8월 19일부터 26일까지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통일 회의'에서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I. 악마토프, I. 아스트로프, B. 구레비치, E. 브로이도, F. 립킨, 표도르 단, 헨리크 에를리히, V. 에조프, K. G. 고구아, B. 고레프, 이반 마이스키, 율리우스 마르토프,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A. 프룸손, 핀케비치, S. 셈코프스키, I. 볼코프와 함께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
4. 3.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는 1917년 5월 스톡홀름 노라 반토리에트에서 열린 멘셰비키 지도자 회의에 파벨 악셀로드, 율리우스 마르토프와 함께 참석했다.[2]
1917년 8월 19일부터 26일까지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통일 회의'에는 멘셰비키 국방주의자, 멘셰비키 인터내셔널리스트, ''노바야 지즌'' 그룹이 참여했다.[3][4][5] 이 회의에는 193,172명의 당원을 대표하는 220명의 대의원이 참석했으며,[4] 마르티노프는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파벨 악셀로드, 율리우스 마르토프 등과 함께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
4. 4. 표도르 단
표도르 일리치 단(Фёдор Ильич Данru, 1871년 10월 19일 ~ 1947년 1월 22일)은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멘셰비키 지도자였다. 본명은 표도르 일리치 구르비치(Фёдор Ильич Гурвичru)이다.1917년 8월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멘셰비키 '통합 회의'에서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파벨 악셀로드, 율리우스 마르토프 등과 함께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
10월 혁명 이후 멘셰비키 내에서 의견 대립이 발생했다. 1921년, 멘셰비키는 소련 공산당의 정치 독점 해체, 산업 사유화, 농민과 부르주아 계급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강령을 발표했다.[8] 그러나 크론슈타트 반란 진압 이후 멘셰비키는 소련 내에서 지하 활동을 해야 했고, 유럽과 북미로 망명해야 했다.[8]
1920년 설립된 멘셰비키 해외 대표부는 처음에는 베를린에, 이후 파리를 거쳐 뉴욕시로 이전했다.[8] 율리우스 마르토프와 라파엘 아브라모비치가 1923년까지 해외 대표부 의장을 맡았고, 이후 표도르 단과 아브라모비치가 의장을 맡았다.[1]
4. 5.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아브라모비치는 1917년 멘셰비키 전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 율리우스 마르토프와 함께 멘셰비키 국외 대표단을 이끌었으며, 마르토프 사후에는 표도르 단과 함께 대표단을 이끌었다.[1] 1921년 비엔나 인터내셔널 창립을 주도했고, 1923년부터 1940년까지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에서 멘셰비키를 대표했다.[1] 1939년 5월까지 LSI 사무국원으로 활동했다.[9]4. 6. 이반 마이스키
1917년 8월에 열린 멘셰비키 "통일 대회"에서 이반 마이스키는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6]5. 평가와 유산
멘셰비키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멘셰비키는 러시아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결국 볼셰비키에 밀려 권력을 잡지 못했다.
참조
[1]
서적
Geschichte der sozialistischen arbeiter-internationale: 1923 - 19
https://books.google[...]
Dt. Verl. d. Wissenschaften
1985
[2]
서적
The Politics of Futility; The General Jewish Workers Bund of Poland, 1917-1943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3]
서적
Революционное движение в России в сентябре 1917 г: общенациональный кризис
https://books.google[...]
Изд-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1961
[4]
서적
Борьба партии большевиков за армию в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волюции: сборник документов
https://books.google[...]
Изд-во Политиче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1977
[5]
서적
Novoe v zhizni, nauke, tekhnike: Serii︠a︡: Istorii︠a︡
https://books.google[...]
Izdatelʹstvo "Znanie".
1987
[6]
서적
The Mensheviks after October: socialist opposition and the rise of the Bolshevik dictatorship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11-10
[7]
서적
История России : Пособие для поступающих в вузы : ХХ век
https://books.google[...]
Издательский дом "Питер"
[8]
서적
From the other shore: Russian social democracy after 1921
1997
[9]
서적
Geschichte der sozialistischen arbeiter-internationale: 1923 - 19
https://books.google[...]
Dt. Verl. d. Wissenschaften
1985
[10]
웹사이트
Marxism and Totalitarianism: Rudolf Hilferding and the Mensheviks
https://www.wilsonce[...]
The Wilson Center
2018-06-20
[11]
서적
Geschichte der sozialistischen arbeiter-internationale: 1923 - 19
https://books.google[...]
Dt. Verl. d. Wissenschaften
1985
[12]
서적
The Politics of Futility; The General Jewish Workers Bund of Poland, 1917-1943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13]
서적
Революционное движение в России в сентябре 1917 г: общенациональный кризис
https://books.google[...]
Изд-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1961
[14]
서적
Борьба партии большевиков за армию в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волюции: сборник документов
https://books.google[...]
Изд-во Политиче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1977
[15]
서적
Novoe v zhizni, nauke, tekhnike: Serii︠a︡: Istorii︠a︡
https://books.google[...]
Izdatelʹstvo "Znanie".
1987
[16]
서적
The Mensheviks after October: socialist opposition and the rise of the Bolshevik dictatorship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11-10
[17]
서적
История России : Пособие для поступающих в вузы : ХХ век
https://books.google[...]
Издательский дом "Питер"
[18]
서적
From the other shore: Russian social democracy after 1921
1997
[19]
서적
Geschichte der sozialistischen arbeiter-internationale: 1923 - 19
https://books.google[...]
Dt. Verl. d. Wissenschaften
1985
[20]
웹사이트
Marxism and Totalitarianism: Rudolf Hilferding and the Mensheviks
https://www.wilsonce[...]
The Wilson Center
1987
[21]
문서
전쟁 지지 여부, 지도권을 확보한 소비에트 내에서 권력 행사 문제, 농민 문제 등등
[22]
서적
The Politics of Futility; The General Jewish Workers Bund of Poland, 1917-1943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23]
서적
Geschichte der sozialistischen arbeiter-internationale: 1923 - 19
https://books.google[...]
Dt. Verl. d. Wissenschaften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